본문 바로가기
자전거의 종류

자전거 서스펜션의 위치에 따른 분류. 하드테일과 풀 서스펜션

by 박휘 2022. 7. 30.
728x90
반응형

MTB, 산악자전거의 경우 산이라는 오프로드를 주행하는것을 산정하고 제작한 자전거입니다. 때문에 거친 노면에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주고 상쇄시켜주어야 하기 때문에 큰 폭의 타이어를 사용하고 서스펜션을 사용합니다. 둘 중 서스펜션의 경우 자전거 앞쪽의 서스펜션과 뒷쪽의 서스펜션으로 나뉩니다. 

앞쪽에 부착된 서스펜션을 서스펜션 포크, 뒤쪽의 서스펜션을 리어 서스펜션이라고 부릅니다. 

canyon의 Lux World Cup CF 7, 파란색이 리어 서스펜션/빨간색이 서스펜션 포크 © canyon

하드 테일 MTB

서스펜션 포크만 장착된 MTB를 하드 테일이라고 부릅니다. 후미에 서스펜션이 없다보니 이렇게 불린다고 합니다. 리어 서스펜션과 장착되는데 필요한 장치가 없기 때문에 풀 서스펜션 MTB보다 가볍습니다. 또한 리어 서스펜션의 쿠셔닝으로 인한 동력 전달에서의 손실이 없어 보다 잘나가며, 앞쪽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경감해주기 때문에 포장이 잘 되어있는 길과 울툴불퉁한 길을 겸용해서 다니기에 좋습니다. 

 

풀 서스펜션 MTB

리어 서스펜션과 서스펜션 포크가 동시에 장착된 MTB를 풀 서스펜션이라고 부릅니다. 풀 샥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리어 서스펜션만 장착된 경우는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. 두 곳에서 충격의 경감이 일어나다 보니 승차감이 매우 부드럽습니다. 산속에서의 주행 특히, 산을 빠르게 내려가며 장애물을 뛰어넘는 다운힐에 적합합니다. 산길에 나무뿌리가 있어도, 바위가 있어도 풀 서스펜션 MTB는 무리없이 주파 가능합니다. 다만 하드테일 MTB보다 가격이 비싸며, 좀 더 무게가 나갈 수 있습니다. 또한 포장이 잘 된 길에서는 페달링시 앞 뒤의 서스펜션에서 동력 전달 손실이 일어나 잘 안나갈 수 있습니다.

 

최종 정리

산악 지형에서의 다운힐을 즐기거나 과도하게 울퉁불퉁한 장애물을 넘는다 - 풀 서스펜션

오프로드와 온로드를 같이 다니며 간혹 장애물도 넘는 만능 자전거를 원한다 - 하드테일

728x90
반응형

댓글